Finance/금융 관련 용어 정리

CRS - Cross-Currency Swap

eeh_gnas 2022. 1. 13. 09:46

What Is a Cross-Currency Swap?

Cross-currency swaps are an over-the-counter (OTC) derivative in a form of an agreement between two parties to exchange interest payments and principal denominated in two different currencies. In a cross-currency swap, interest payments and principal in one currency are exchanged for principal and interest payments in a different currency. Interest payments are exchanged at fixed intervals during the life of the agreement. Cross-currency swaps are highly customizable and can include variable, fixed interest rates, or both.

Since the two parties are swapping amounts of money, the cross-currency swap is not required to be shown on a company's balance sheet.

 

What Is a Balance Sheet?

A balance sheet is a financial statement that reports a company's assets, liabilities and shareholder equity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ww.investopedia.com

 

KEY TAKEAWAYS

  • Cross-currency swaps are used to lock in exchange rates for set periods of time.
  • Interest rates can be fixed, variable, or a mix of both.
  • These instruments trade OTC, and can thus be customized by the parties involved.
  • While the exchange rate is locked in, there is still opportunity costs/gains as the exchange rate will likely change. This could result in the locked-in rate looking quite poor (or fantastic) after the transaction occurs.
  • Cross-currency swaps are not typically used to speculate, but rather to lock in an exchange rate on a set amount of currency with a benchmarked (or fixed) interest rate.

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간의 현재 기준으로 약정 환율을 정하고, 일정한 시점에 필요한 만큼 돈을 상대국과 맞교환하는 외환 거래를 의미 (예. 한국은행이 미국연준에게 원화를 제공하고 미국 연준을 한국은행에 달러를 제공하게된다)

힌국은행과 미국연준은 일정한 한도 내에서 서로 돈을 빌릴 수 있으며 이는 서로의 은행에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이번 통화스와프는 한국은행이 미국연준으로부터 6개월 만기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한 것과 같고 고정된 환율로 600억달러의 규모만큼 빌릴 수 있다. 그 6개월이라는 시간 안에서 한국은행은 빌릴 수 있는 한도 내의 달러로 시장에 적절히 투입하며 적절한 달러수급이 안정화를 찾아주기도 한다.  

통화스와프 체결 이유 - 금융시장에 원화 유동성이 부족할 때 이를 뒷받침하는 자금 공급원의 역할을 수행.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 투자자들은 안정된 자산에 투지하고자하고 이 중에 최고의 안정된 자산은 금 혹은 달러(Key CCY)

실제로 미국은 우리나라와의 통화스와프 말고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등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과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미국과의 이해관계에 있는 모든 글로벌 외환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물론 통화스와프 체결만으 모든 위기가 종식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추가적인 대응책과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그치만 요즘같이 어려운 시장에서 통화스와프 체결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좋은 변곡점이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임에 분명하다.

 

 

 

 

 

 

 

 

 

 

 

 

 

'Finance > 금융 관련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placement Cost  (0) 2022.04.05
Rollover  (0) 2022.01.13
What is 'rehypothecation' of collateral?  (0) 2021.12.15
잭슨홀 미팅  (0) 2021.08.25
[시사금융용어] 커브 스티프닝과 플래트닝  (0) 202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