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e/금융 관련 용어 정리 68

Simple Barrier Option

https://yonelabs.tistory.com/entry/03-%EC%98%B5%EC%85%98-006-%EB%B0%B0%EB%A6%AC%EC%96%B4-%EC%98%B5%EC%85%98Barrier-Option [03. 옵션] 006. 배리어 옵션(Barrier Option) 배리어 옵션은 옵션의 잔존기간동안 기초자산의 가격이 계약시점에 미리 정해놓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는가에 따라 Payoff가 결정되는 옵션이다. 배리어 옵션의 기본적인 형태는 Knock-In 옵션과 yonelabs.tistory.com

[시사금융용어] 커브 스티프닝과 플래트닝

◆ 커브 스티프닝은 채권 수익률곡선의 경사가 가팔라진 것을 뜻한다. 반대로 수익률곡선이 평평해진 상황은 커브 플래트닝이라고 부른다. 수익률곡선(일드커브)은 채권 금리를 만기별로 점으로 찍은 뒤 이들을 이은 그래프다. 채권은 일반적으로 단기물일수록 금리가 낮고 장기물일수록 금리가 높기 때문에 만기가 긴 쪽으로 갈수록 우상향하는 'S'자 형태의 일드커브가 만들어진다. 향후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땐 단기물 수요가 늘고 장기물 수요가 줄면서 장ㆍ단기 금리 차가 커지는 커브 스티프닝이 나타난다. 반대로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하에선 장·단기 금리 차가 작아지면서 커브 플래트닝이 연출된다. 커브 플래트닝이 경기 침체의 전조로 평가되는 이유다. 커브 스티프닝과 플래트닝은 각각 불(강세ㆍ금리하락)과 ..

Total Return Swap (TRS) 의미

Total Return Swap (TRS: 총수익 스왑거래) 스왑거래 당사자 중 한쪽은 정해진 조건대로 (고정금리든 변동금리든) 수수료를 지급하고 다른 한쪽은 특정자산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 (Capital Gain도 포함한 Total Return)을 이전하기로 약정하는 스왑거래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자산을 Reference Asset이라 하며 대체적으로 주가지수 (Equity Index)가 대상이 됩니다만 대출(Loans)이나 채권(Bonds)도 될 수 있으며, 이러한 Reference Asset을 보유한 측이 미리 정해진 수수료를 수령하는 측이 됩니다.

Volatility 의미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이라 한다. 옵션 시장 가격에 내재되어 있는(또는 암시되어 있는) 변동성이란 뜻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옵션시장 참여자들이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주식시장의 위험 정도 변동성 지수(volatility index)란 주가지수 옵션의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을 대표하는 지수로서, ‘향후 특정 기간 주가지수 미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예측치’ 를 뜻 ‘변동성(volatility)’이란 자산 가격의 수익률이 등락하는 정도를 뜻한다. 주식시장 에서는 방향성(direction)이 중요한 반면 옵션시장에서는 변동성(volatility)이 중요 한데 이는 곧 옵션의 당첨(?) 가능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주식시장에서는 특정 종목의 주가가 ‘오를까 내릴..

Marked to market 의미

Mark to market: 시가가 있는 금융 자산이나 부채에 관하여 현재 시장에서 사용되는 가격을 적용해서 평가 손실이나 평가 손익을 계산 하라고 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중요한 기능 Mark to Market은 fair value convention에 기준한 제도. 그러면 Fair Value 는 한국어로 하면 공정 가치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의 정의는 거래에 들어가고자 하는 그 대상에 관한 지식이 있는 구매자와 구입자가 거래를 할 때에 사용하는 공정한 가격 정도. Fair Value 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는 가장 산출하기 쉬운 market price 이고 다른 것은 모델을 이용해서 산출한 것.

스트립 채권

스트립(STRIP; Separate Trading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채권 이란 원금과 이자가 붙어있는 채권을 각각 원금과 이자만 있는 채권으로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채권 스트립을 하게 되면 다양한 이점이 있다. 원래의 채권과 동일한 원금을 가진 채권은 그대로 있고 이자부분만 떼어놨기 때문에 이자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이 줄어든다. 이표채는 이자로 재투자를 하기 때문에 만기가 끝날 때까지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채권을 스트립하게 되면 만기의 금액을 확정시킬 수 있게 돼 이런 요구가 있는 보험사들이 선호한다. 스트립(STRIPs) 채권은 이 같은 이표를 분리해 각각 다른 채권으로 만든 것, 3년짜리 ..

외환 (Forex, Fx마진) 거래단위 (계약, 랏 Lot)와 호가단위 (핍 Pip) 의 뜻 - 주식 선물 옵션 FX마진 거래

● 포렉스 (Forex, FX) 뜻 : Forex = Foreign Exchange [포린 익스체인지] = Foreign Exchange Market [포린 익스체인지 마켓] : 포렉스(Forex)는 다른 나라의 통화(화폐)를 사고 파는 거래소 (외환거래소, foreign exchange) 또는 외환시장 (foreign exchange market)을 줄인 말입니다. ㅇ foreign [포린] 다른 나라, 외국, 이질적인 것 .... ㅇ exchange [익스체인지] 바꾸다, 교환하다 ... 외환시장은 장외시장 (오버 더 카운터 마켓, over-the-counter market)이며, 지구상에서 거래 규모 면에서나 유동성 면에서 최대입니다. 외환시장은 주말을 제외하고는 24시간 쉼없이 거래가 이루어지며,..

YoY, QoQ, YTD , %p의 뜻

f-noon.com/290 주식 경제 경영 용어 정리 - YoY, QoQ, MoM, YTD, MTD 주식 경제용어 정리 - YoY, QoQ, MoM, YTD, MTD 2018년 7월의 첫날입니다. 6월도 마무리가 되었으니 이제 2분기 실적 및 상반기 실적등이 발표가 되는 시즌입니다. 주식이나 경제, 경영에 관심 있는 분들 f-noon.com 조금 더 체계적인 주식투자를 위해서는 증권사에서 발표하는 리포트와 재무제표를 볼 줄 알아야합니다. 리포트의 리서치자료를 볼 때 주식을 처음 처음하는 분들이라면 생소한 외계어 같은 약어들이 주로 등장합니다. 이번 포스트는 주식을 할 때 꼭 알아야할 약어 YoY, QoQ, YTD, %p 의 뜻을 알려드리겠습니다. YTD (Year To Date) YTD는 Year To ..

Accrual

경과이자 일반적 채권의 경우 이자지급일과 채권매매일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자지급일 사이에 채권거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의 이자지급일 다음날부터 거래일까지 경과한 일수에 따라 계산한 이자를 말한다. 따라서 경과이자는 실제채권의 가치증가분이므로 채권 매매시 매매가격에 포함된다. Range Accrual: 그 기간에 도달시에 지급하는 이자 (Spread Accrual: 그 Range가 여러 개)

[ARS] Absolute Return Swap

절대수익추구형스왑 (ARS: Absolute Return Swap) 롱숏 ELB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사모로 투자금을 모집한 뒤 투자금은 CD(양도예금증서) 등 안전자산에 투자해서 원금을 보장하고 이를 담보로 빌린 돈을 투자 자문사와 스와프 거래를 통해 롱숏기법으로 투자, 추가 수익을 얻는 상품 ARS: 절대 수익 스왑 절대 수익형 스왑 Absolute Return Swap - 롱숏 ELB - 롱숏 파생 결합 사채 - 원금이 보장되는 절대 수익추구형 스왑 - 고객의 투자원금 대부분을 국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증권사는 국채를 담보로 차입한 자금을 롱숏 전략을 구사하는 투자자문사에 맡겨 운용하는 구조 - 예) 투자자가 돈을 맡기면 국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증권사가 같은 금액을 담보 차입해 롱숏(l..

[TRS] Total Return Swap

Total Return Swap (TRS: 총수익 스왑거래) 스왑거래 당사자 중 한쪽은 정해진 조건대로 (고정금리든 변동금리든) 수수료를 지급하고 다른 한쪽은 특정자산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 (Capital Gain도 포함한 Total Return)을 이전하기로 약정하는 스왑거래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자산을 Reference Asset이라 하며 대체적으로 주가지수 (Equity Index)가 대상이 됩니다만 대출(Loans)이나 채권(Bonds)도 될 수 있으며, 이러한 Reference Asset을 보유한 측이 미리 정해진 수수료를 수령하는 측이 됩니다. 왜 이런 거래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특정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측은 향후 자산가치가 하락할 위험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수수료 수익을 취하고자 하고, ..

수익증권

1ststreet.tistory.com/entry/%EC%88%98%EC%9D%B5%EC%A6%9D%EA%B6%8C%EC%88%98%EC%9D%B5%EC%A6%9D%EA%B6%8C%EC%9D%B4%EB%9E%80 [수익증권]수익증권이란? 수익증권의 이해 Ⅰ ◎ 수익증권이란 (= 집합투자증권)? 1) 간접투자(=펀드) -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 등을 모아서 투자증권, 파생상품, 부동산, 실물자산 등에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1ststreet.tistory.com 정확이 펀드가 수익증권 보다 더 큰 개념입니다. 즉 수익증권도 펀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계약형 펀드를 수익증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사형 펀드는 뮤추얼펀드라고 부르지요. m.kin.naver.com/mobile/qna/detail.n..

IR Cap/ Floor/ Collar

금리 CAP, 금리 Floor, 금리 Collar Interest Rate Cap은 기준으로 삼는 금리 (예들 들면, LIBOR)가 서로 약정한 수준 (Agreed Strike Rate)을 초과하게 되면 Cap 매입자가 ‘이자 산출기간 마지막 날’에 초과된 이율에 해당하는 이자를 돌려받는 파생상품입니다. LIBOR 2.5% Cap을 매입했다면 금리가 3.5%가 되더라도 약정한 수준을 초과하는 1%p (=3.5%-2.5%)는 Cap 매도자로부터 보상을 받게 되므로 차입금리를 최대 2.5%로 확정하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비슷한 이치로, Interest Rate Floor는 기준으로 삼는 금리 (예들 들면, LIBOR)가 서로 약정한 수준을 하회하게 되면 Floor 매입자가 ‘이자 산출기간 마지막 날’에 기..

변동금리부채권(FRN)

변동금리부채권 [FRN : Floating Rate Note] 지급이자율이 시중실제금리에 따라 변하는 채권을 말한다. 회사채나 국공채 등 이자율이 채권 발행시에 고정되어 만기 때까지 유지되는 고정금리부채권과 상대적인 개념이다. FRN은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확산되어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위험을 최소화(헤지)하기 위해 발행된다. 통상 금리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가 오를 때에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FRN의 이자율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한 것으로 결정된다. 런던이나 홍콩 등 국제금융시장에서 기분이 되는 리보(런던은행간금리)가 대표적인 기준금리의 하나이다. 가산금리는 채권발행자의 신용도에 따라 차등화 된다. 우리나라는 1994년 9월부터 FRN 발행을 허용하였다. ..

이젝터블 스텝다운 ELS

이젝터블 스텝다운 ELS는 기존의 일반 스텝다운형과 달리 두 기초자산 중 상환조건을 한번이라도 만족한 기초자산은 더 이상 상환조건을 관찰하지 않고 남은 기초자산만의 상환조건만을 관찰하도록 설계한 신상품이다. 조기상환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종가가 최초기준가격의 90%(4, 8개월), 85%(12, 16개월), 80%(20개월) 이상인 경우 최대 36.0%(연 18.0%)의 수익률로 조기상환된다. 또한 각 상환평가일은 3일 종가 산술평균을 적용해 투자자 보호장치를 강화했다. 예를 들어, 4개월 후 1차 조기상환평가가격이 각각 신한지주는 92%이고, 현대중공업은 86%이면 신한지주는 1차 조기상환조건인 '최초 기준가격의 90% 이상'을 만족하므로 다음 조기상환평가일부터는 관찰하지 않고, 남은 기초자산인 현대중공업..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 옵션 만기일 이전에 언제든지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미국식옵션(American option)과 옵션 만기일이나 만기일 직전에 한번만 행사할 수 있는 유럽식옵션(European option)의 중간단계인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은 옵션기간 중에 미리 정해둔 시점에 한해서 만기 이전에라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옵션이다. 만기 이전에 권리 행사를 할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식 옵션과 같은 성격이면서도, 미국식 옵션은 만기 이전에 어느때나 행사가 가능 한 반면 버뮤다옵션은 만기 이전에 행사가 가능하지만 미리 정해둔 시점 (predetermined date)에만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