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4

변동금리부채권(FRN)

변동금리부채권 [FRN : Floating Rate Note] 지급이자율이 시중실제금리에 따라 변하는 채권을 말한다. 회사채나 국공채 등 이자율이 채권 발행시에 고정되어 만기 때까지 유지되는 고정금리부채권과 상대적인 개념이다. FRN은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확산되어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위험을 최소화(헤지)하기 위해 발행된다. 통상 금리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가 오를 때에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FRN의 이자율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한 것으로 결정된다. 런던이나 홍콩 등 국제금융시장에서 기분이 되는 리보(런던은행간금리)가 대표적인 기준금리의 하나이다. 가산금리는 채권발행자의 신용도에 따라 차등화 된다. 우리나라는 1994년 9월부터 FRN 발행을 허용하였다. ..

Volatility target option

The latest risk management strategy is called the target volatility strategy. The target volatility strategy is used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realized volatility of a portfolio. The strategy re-balances the allocation of risky asset to non-risky asset in order to protect the portfolio from equity market crashes. 최신 리스크 관리 전략을 목표 변동성 전략이라고 합니다. 목표 변동성 전략은 포트폴리오의 안정적인 실현 변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이젝터블 스텝다운 ELS

이젝터블 스텝다운 ELS는 기존의 일반 스텝다운형과 달리 두 기초자산 중 상환조건을 한번이라도 만족한 기초자산은 더 이상 상환조건을 관찰하지 않고 남은 기초자산만의 상환조건만을 관찰하도록 설계한 신상품이다. 조기상환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종가가 최초기준가격의 90%(4, 8개월), 85%(12, 16개월), 80%(20개월) 이상인 경우 최대 36.0%(연 18.0%)의 수익률로 조기상환된다. 또한 각 상환평가일은 3일 종가 산술평균을 적용해 투자자 보호장치를 강화했다. 예를 들어, 4개월 후 1차 조기상환평가가격이 각각 신한지주는 92%이고, 현대중공업은 86%이면 신한지주는 1차 조기상환조건인 '최초 기준가격의 90% 이상'을 만족하므로 다음 조기상환평가일부터는 관찰하지 않고, 남은 기초자산인 현대중공업..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 옵션 만기일 이전에 언제든지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미국식옵션(American option)과 옵션 만기일이나 만기일 직전에 한번만 행사할 수 있는 유럽식옵션(European option)의 중간단계인 버뮤다옵션(Bermuda option)은 옵션기간 중에 미리 정해둔 시점에 한해서 만기 이전에라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옵션이다. 만기 이전에 권리 행사를 할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식 옵션과 같은 성격이면서도, 미국식 옵션은 만기 이전에 어느때나 행사가 가능 한 반면 버뮤다옵션은 만기 이전에 행사가 가능하지만 미리 정해둔 시점 (predetermined date)에만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상환전환우선주(RCPS)

1. 기본 개념 상환전환우선주 (RCPS :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란, 만기 때 투자금의 전액 혹은 일부를 (현금)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상환권'과, 보통주의 전환을 요구할 수 있는 '전환권'이 있으며, '의결권'을 부여할 수 있는 주식을 의미한다. ​ 2. 회계 분류 기준 이 'RCPS'로 투자를 받는 회사는, 국제회계기준(IFRS)상 '부채'로 분류해야 한다. 이후, 보통주로 전환할 때 '자본'으로 재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투자받는 회사에서 '상환권'을 가질 경우,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런데, 투자자는 투자를 받으려고 하는 회사에 상환권을 부여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3. 특징 통상, 이 RCPS로 투자하는 투자..

카테고리 없음 2020.12.18

공모주 환매청구권 IPO put back option

기업공개 시 공모에 참여한 일반청약자가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공모가격의 90% 이상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 IPO put back option 다시 파는 권리를 요청할 수 있는 옵션 환매청구권(풋백옵션)이란 기업공개시 일반청약자가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수요예측 없이 인수회사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공모가를 정하거나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 창업투자회사 등을 참여시키는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여야 권리 부여가 가능합니다.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게 되면 인수회사는 공모가격의 90%이상으로 매수해야 합니다.

Structured Swap 구조화 스왑

구조화 스왑 = 구조화 + 스왑 구조화 = 표준(정형)적이지 않을 것을 의미 > 채권/금리시장에서는 옵션의 첨가(또는 현금흐름의 조작)를 의미 스왑 = 정기적으로 현금흐름(또는 수익률, return)을 교환하는 거래 > fixed/floating leg ⇆ structured/funding leg 구조화 스왑은 트레이딩목적의 상품이 아니다 순수하게 구조화 스왑만 거래되는 경우는 드물다. 트레이딩 목적 상품; IRS, FRA, Cap/Floor 채권/대출과 결합하여 구조화 채권/대출 형태로 거래 기존 채권/대출의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스왑형태 거래도 가능 본질적(risk profile)으로 구조화 스왑과 채권은 동일 따라서 구조화 스왑은 “만기보유” 목적의 거래 △ 구조화 스왑(채권) 증가 요인 저금리시대..

XSLT

qssdev.tistory.com/41 XSLT란 무엇일까? XSL.md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W3C는 XML에 기반한 Stylesheet 언어가 필요해서 XSL이라는 것을 만들었습니다. CSS가 HTML을 위한 스타일 언어라면, XSL은 XML을 위한 스타일 언어.. qssdev.tistory.com www.w3schools.com/xml/ref_xsl_el_copy-of.asp xsl:copy-of XSLT ❮ Complete XSLT Element Reference Definition and Usage The element creates a copy of the current node. Note: Namespace nodes,..

IT Developers/MxML 2020.12.14

[금융지식] 환매조건부채권 RP

환매조건부채권(영어: repurchase agreements, RP)은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확정금리를 보태 되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주로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한국은행이 시중 통화량을 조절하거나 예금은행의 과부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발행한다. 금융기관이 보유한 특수채ㆍ신용우량채권 또는 국공채 등을 담보로 발행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뛰어나고 환금성이 보장된다는 게 장점이다. 또 채권을 현실로 존재하는 형태인 실물거래 하는 게 아니라 중앙은행에 맡겨둔 기준 예치금을 대차거래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대개 한 달에서 3달 정도 운용을 하며 최장 만기는 1년이다. 금리는 일반적으로 정기예금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고 만기 이후엔 별도 이자가 붙..